모바일 운전면허증 발급 홈페이지
핸드폰 본인 인증으로 신청하기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나를 증명할 수 있는 다양한 신분증이 있다. 그러나 나는 스마트폰을 통해 계산 등 모든 일상을 살아가기 때문에 따로 지갑을 들고 다니지 않는다. 하지만 증명이 필요할 때 신분증을 챙겨야 하는데 가끔 까먹어서 다시 집으로 돌아온 적이 많다.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을 들고 다녀야 한다는 불편함을 느끼고 있었다. 특히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까지 상세하게 적혀있는 신분증은 개인정보 노출 위험 때문에 불안했다. 그러나 이러한 불편함과 불안함은 새로운 신분증의 등장으로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바로 1월 27일부터 ‘모바일 운전면허증’의 시범 발급이 시작됐다.
모바일 신분증 홈페이지에서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설명하고 있다.(출처=모바일 신분증 누리집)
말 그대로 스마트폰 속에 운전면허증을 저장할 수 있다. 지갑이 아닌 스마트폰에서, 개인정보 노출 위험을 낮추면서 본인을 증명할 수 있게 되었다.
행정안전부와 경찰청은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일부 지역에서 시범 발급 중이며, 7월부터는 전국으로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모바일 운전면허증은 지난해 발급한 모바일 공무원증을 토대로 수정과 보완을 거쳐 탄생하게 됐다고 한다. 법적 효력은 현행 플라스틱 운전면허증과 동일하다. 더불어 오프라인은 물론 온라인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처음 발급받을 경우 서울 서부, 대전 운전면허시험장이나 연계 경찰서 민원실에 방문하여야 한다. 직접 방문한 후 대면 신원 확인을 거쳐야 발급받을 수 있다.
모바일 신분증으로 나를 증명할 수 있게 되면서 편리함이 극대화 됐다. 나도 하루빨리 발급받고 싶었지만, 거주지가 시범 발급하는 곳과 멀어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발급받지 못했다. 하지만 7월부터 전국으로 확대할 예정이니 이때 다시 신청하기로 다짐했다.
모바일 신분증 누리집 갈무리 화면.(출처=모바일 신분증 누리집)
이렇게 모바일 신분증에 대해 뉴스를 보던 중 각종 대학 관련 증명서도 모바일로 발급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 사실을 알게 된 후 바로 정부24 앱을 설치했다. 관련 증명서는 정부24 앱과 페이코, 토스 앱을 통해서도 발급이 가능하다.
발급받기 위해서는 정부24 앱에 있는 전자문서지갑 이용을 신청해야 한다. 메뉴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전자문서지갑 이용을 신청하면 바로 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다. 전자문서지갑을 통해 대학 관련 증명서 및 다양한 전자증명서 발급이 가능하다.
증명서 신청을 누른 후 대학을 검색어로 입력했다. 졸업증명서, 성적증명서, 재학증명서, 휴학증명서, 제적증명서 총 5개의 증명서를 신청할 수 있다. 나는 재학증명서를 신청해보았다. 1분 후 모바일 재학증명서가 발급되었다. 보관 기간도 90일로 길었다. 항상 종이로 재학증명서를 뽑았는데 이렇게 간단하고, 간편하게 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었다.
종이 재학증명서이다. 모바일 재학증명서도 종이 재학증명서와 똑같은 형태이다.
종이로 뽑은 재학증명서와 똑같은 재학증명서가 내 스마트폰에 저장된다는 것에 다시 한번 놀랐다. 특히 증명서를 기관이나 타인에게 보낼 수도 있다. 기관명을 검색하여 제출하거나 전자문서지갑 주소를 입력하여 보낼 수 있다. 다른 방법이 필요하다면 1회 열람용으로 주소와 문서열람번호를 생성하여 타인에게 SNS 등을 통해 보낼 수 있다.
모바일 신분증에 대한 관심으로 다양한 자료를 찾아보던 중 재학증명서도 모바일로 발급받을 수 있다는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다. 증명서가 필요할 때 정부24 앱을 활용하여 모바일로 발급받는 또 다른 방법에 대해 배우게 된 하루였다. 대학 관련 증명서 외에도 각종 증명서 발급이 가능하니 정부24 앱을 잘 활용하길 추천한다.
점차 모바일로 가능한 것들이 많아지면서 7월에 전국으로 확대될 모바일 운전면허증과 추후 가능할 다른 모바일 신분증까지 새로운 변화를 맞이한 신분증에 기대감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모바일 신분증 누리집 : https://www.mobileid.go.kr/mip/hps/main.do